본문 바로가기

세금 · 정책

65세 이상 주거급여, 이젠 월세 걱정 마세요! 정부가 대신 내드립니다

 

이 나이에 어디 다른 데 가서 새로 살 수도 없고,
그렇다고 계속 여기서 살자니 너무 춥고 불편해…

주거 급여

 

낡은 주택에서 겨울이 오기만을 걱정하시는 어르신들.
전세금 인상 소식에 한숨만 쉬는 노부부.
누구보다 열심히 살아오셨지만, 노년의 집 걱정은 여전히 무겁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혼자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정부가 마련한 주거급여 제도는 바로 이런 어르신들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입니다.


65세 이상, 이젠 월세 걱정 마세요!

고령자 주거급여로 따뜻한 노년을 준비하세요


혼자 사는 어르신, 은퇴 후 고정 수입이 부족한 노부부, 그리고 자녀와 떨어져 지내는 고령층.
살던 집은 오래되고, 월세는 계속 오르는데 뚜렷한 대안이 없다고 느껴지셨나요?

 

그런 분들을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정책, 바로 고령자 주거급여 제도가 있습니다.
2025년 개편을 통해 더 많은 어르신들이 따뜻한 집에서 안정적인 노년을 보내실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 글에서는 신청 조건, 절차, 금액 등 핵심 정보를 한눈에 정리합니다!


복지로 주거급여 신청 바로가기

🔍목차


65세 이상 주거급여, 이젠 월세 걱정 마세요! 정부가 대신 내드립니다
주거 급여

🏡 주거급여란 무엇인가요?

주거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중 하나로,
저소득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임대료를 지원하거나 자가주택 수선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특히 만 65세 이상 고령층은


소득이 정기적으로 없거나 낮고
오래된 집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이홈 주거급여 안내 상세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주거 급여

다음 조건 중 해당되면 주거급여 신청 대상일 수 있습니다

  • 만 65세 이상 고령자
  •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
  • 무주택자(임차인) 또는 자가주택 소유자
  •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 전세/월세 계약서 소지자 또는 노후 주택 거주자

예시: 2025년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48% = 약 1,148,166원/월

 

2025년부터는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고령자라면 누구나 주거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수치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상세표를 참고하세요.


💰 얼마나 지원받을 수 있나요?

임차급여 (월세 지원)

  • 가구 규모, 지역, 임대료에 따라 차등 지급
  • 1인가구 고령자 기준, 서울 최대 35만 원/월
  • 지방 농촌 지역의 경우 20~25만 원/월
지역 구분 기준임대료 월 최대 임차급여 비고
1급지 (서울) 약 43만 원 약 35만 원 전국 평균 대비 최고
2급지 (광역시, 경기) 약 36만 원 약 28만 원 중간 수준
3급지 (지방도시) 약 31만 원 약 25만 원 도심 외곽
4급지 (농어촌) 약 26만 원 약 20만 원 시골, 읍·면 지역

 

자가수선급여 (자가 보수 지원)

  • 집을 소유했더라도 노후 주택이면 수리비 지원
  • 경보수: 590만 원 / 중보수: 1,095만 원 / 대보수: 1,601만 원
  • 항목: 도배, 욕실, 창호, 지붕, 기초공사 등

주거 급여

 

자가주택에 거주 중이라면, 주거급여 중 ‘자가수선급여’를 통해 집을 고칠 수 있는 지원도 가능합니다. 도배, 욕실 수리, 창호 교체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되어 있어 고령층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시골에 오래된 집을 소유한 고령자는 전기 누전, 화장실 문제 등 개선 가능

 


📝 신청 방법은?

  1.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2. 복지로(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접속 후 온라인 신청
  3. 준비서류 제출
    • 신분증
    • 임대차계약서 사본 (임차인일 경우)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 통장사본
    • 자가주택 노후 사진(자가수선급여 신청 시)

복지로 주거 급여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 꼭 기억해야 할 포인트

  • 자가주택이더라도 수선 가능!
  • 자녀와 살지 않더라도 단독 가구이면 신청 가능
  • 임대차계약이 없어도 농어촌 무허가주택 수선 가능성 있음
  • 거주 실태조사 후 지원여부 최종 결정

📊 사례로 보는 실제 지원

이   름 연   령 주거형태 지원내용
김OO 어르신 78세 서울 월세 1인 월 31만 원 임차급여 수급 중
이OO 할머니 83세 시골 자가주택 대보수 1,500만 원 지원받아 리모델링 완료
박OO 부부 71세 경기도 전세 기준임대료 적용 월세 지원 수령

🤔 자주 묻는 질문

Q. 자녀와 함께 살면 받을 수 없나요?

A. 아닙니다. 세대 분리 또는 부양의무자 기준에 따라 가능성 있음

 

Q. 월세가 40만 원이면 전부 지원되나요?

A. 아닙니다. 지역별 ‘기준임대료’ 내에서 일부 자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지붕이 무너질 것 같은데도 지원되나요?

A. 예. 자가수선급여는 구조적 위험 주택에 우선 적용됩니다.


✅ 결론 – 지금 확인하지 않으면 손해입니다!

주거 급여

지금 이 글을 보고 있는 당신의 부모님일 수도 있고,
혼자 사시는 옆집 어르신, 혹은 바로 당신일 수도 있습니다.

주거급여는 '혜택'이 아니라, 국민의 권리로서 준비된 제도입니다.
조건이 맞는 수많은 어르신들이 아직도 신청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제도를 아는 것만으로도, 누군가의 겨울은 훨씬 따뜻해질 수 있습니다.

 

어르신의 삶은 고요한 쉼과 안정으로 채워져야 합니다.
정부의 주거급여는 그 기반을 마련하는 첫걸음입니다.
매달 줄줄 새는 월세, 혹은 수선도 못 하는 오래된 집에 더 이상 머무르지 마세요.

지금 바로 주민센터 또는 마이홈 포털에서
주거급여 신청 자격을 확인해보세요.
당신이 받을 수 있는 주거 안정의 권리, 늦지 않게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마이홈 주거급여 안내 상세
복지로 주거급여 신청 바로가기